☆ 상향/하향/다면평가가 된다는 것은 평가자-피평가자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
☆ 1차-2차평가를 구성한다는 것은 비중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성과관리는 평가와 보상을 적정하게 하는 인사관리 중 하나이고, 기업마다 고유한 업무형태와 문화가 반영되어야 합니다.
성과관리를 위해서 e-HR시스템이 갖추고 있어야 할 메뉴와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마련했습니다.
특히, 모두 된다고 할 때에는 『된다』가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합니다.
☆ 상향/하향/다면평가가 된다는 것은 평가자-피평가자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
☆ 1차-2차평가를 구성한다는 것은 비중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☆ 절대평가를 한다는 것은 평균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☆ 상대평가를 한다는 것은 평가등급을 배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KPI를 반영된다는 것은 조직별 성과지표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KPI는 목표와 실적을 구분 관리되어야 합니다.
개인은 조직의 성과를 이어받습니다. MBO는 조직KPI와 자연스럽게 연동되어야 합니다.
개인을 업적과 역량으로 평가한다면 업적은 보상으로, 역량은 승진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합니다.
각종 리포트는 잘 구비되어 있는지 보아야 합니다.
다양한 결재 프로세스가 구현되어 있어야 합니다..
평가와 보상은 기업문화의 꽃이면서 변경도 많습니다. 시스템때문에 회사의 문화를 변경하기 어렵습니다.
제도변경에 따라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지 않으려면 옵션처리와 다양한 환경설정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.